최길성 작가 썸네일형 리스트형 “본업 검찰수사관, 제 직업 알리려 글 쓰기 시작” [출처:중앙일보] ‘2024 월드 와이드 웹소설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최길성 작가. 최기웅 기자“수사 현장에서는 작은 단서 하나도 놓치지 않는 게 중요하거든요. 자연스럽게 수첩에 메모하는 습관이 20년 넘게 자리 잡았는데 그걸로 제가 소설을 쓰게 될 줄은 꿈에도 몰랐죠.”‘2024 월드 와이드 웹소설 공모전’에서 ‘모든 걸 아는 남자’로 대상을 수상한 최길성(53) 작가는 수상 소감을 묻자 이같이 답했다. ‘2024 월드 와이드 웹소설 공모전’은 K콘텐트의 미래를 책임질 신진 작가를 발굴하고 창작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크래프톤의 자회사인 띵스플로우와 중앙일보가 공동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후원했다. 올해 공모전에선 대상을 비롯해 최우수상과 우수상 등 총 20개 작품이 수상의.. 더보기 검사실 참여계장의 어떤 하루 나는 오후에 조사해야 할 구속 피의자 송치 사건 기록을 살펴보았다. 피의자는 몽골인이었다. 통역인이 필요했다. "실무관님 몽골어 통역하시는 분 연락처 아세요?""예 저번에 다른 방에서 불렀던 통역사 전화번호가 있어요. 제가 메신저로 연락처 보내 드릴게요" 나는 실무관이 보내온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전화를 걸려다가 멈추었다. 몽골인이 통역 없이 조사를 받을 수 있을 정도로 한국어에 유창하다는 경찰관의 수사보고서를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수화기를 내려놓고 다시 사건기록을 검토했다. 몽골인의 죄명은 상해와 절도였다. 기록 사이에 들어있는 CD를 꺼내어 몽골인의 범죄 영상을 보았다. 음성이 없는 영상을 보아도 금세 이해가 되었다. 몽골인은 편의점에서 빵과 과자를 훔치다가 아르바이트생에게 들켰다. 아르바이트 대.. 더보기 욕으로 가득해진 502호 검사실 10시가 되자, 나는 오후에 있을 조사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내가 조사해야 할 사건은 쌍방 폭행 사건이었다. 기록 표지에 붙어있는 포스트잇에는 ‘대질조사’라고 씌어 있었다. 검사는 대질조사를 하여 범죄사실을 특정한 후 기록을 다시 돌려달라는 의사를 단 네 글자로 표현했다. 순간, 피식하고 오묘한 웃음이 흘러나왔다. 검사도 대단하고 나도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다. 단 네 글자로 말하고자 하는 모든 의사를 전달하고, 또 단번에 그 뜻을 파악하니 말이다. 나는 당사자 둘에게 3일 전에 출석할 것을 요구했다. 둘은 오늘 오후에 출석하기로 했고, 그들은 14시가 되자 정확히 도착했다. 이 사건은 아무리 보아도 쌍방 폭행 사건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서로 피해자라고 우겼다. 사실, 두들겨 맞는 상황에서 열중쉬어하.. 더보기 [잡히면 산다] 에세이 출간 검찰수사관 생활 가운데 가장 의미있었던 일을 모아 에세이를 출간하였습니다.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 더보기 이전 1 다음